맨위로가기

위 (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魏)는 삼국 시대에 조조의 아들 조비가 후한 헌제로부터 선양받아 건국한 국가이다. 조조는 후한 말 혼란기에 세력을 키워 헌제를 옹립하고 승상, 위공, 위왕의 지위에 올랐으나 황제 즉위는 하지 않았다. 조비는 220년 위나라를 건국하고 낙양을 수도로 삼았으며,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제도 정비를 통해 국가 체제를 갖추었다. 위나라는 촉한, 오나라와 대립하며 제갈량의 북벌을 격퇴하는 등 세력을 유지했으나, 사마씨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265년 사마염이 조환에게 선양받아 멸망했다. 위나라는 둔전제, 병호제 등의 제도를 통해 경제적, 군사적 기반을 다졌으며, 건안문학, 현학 등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시기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위 - 조모 시해
    조모 시해는 위나라 황제 조모가 사마소에게 대항하다 살해된 사건으로, 사마씨의 권력 강화와 조씨 왕조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권력 남용과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사적 사건이다.
  • 조위 - 교지의 난
    교지의 난은 후한 말부터 삼국 시대에 걸쳐 교주에서 발생한 반란과 동오, 서진 간 교전을 통칭하며, 동오의 수탈과 차별에 대한 반발, 찌에우 티찐 부인의 저항, 서진의 교지 점령 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베트남 민족의식 형성과 삼국 시대 종결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에 관한 - 신도가
    신도가는 전한 시대의 무관 출신으로, 항우와의 싸움과 영포의 난에 참여하고 혜제 때 회양태수를 거쳐 승상에 올랐으며, 청렴한 성품으로 황제의 총애를 받던 등통을 처벌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조조와의 갈등 끝에 죽음을 맞이하여 절후의 시호를 받았다.
  • 중국에 관한 - 카자흐인
    카자흐인은 15세기 카자흐 칸국 건국 이후 명칭이 사용된 튀르크계 중앙아시아 북부 유목민족으로, "자유로운 자"를 뜻하는 카자흐라는 명칭은 권위에 저항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카자흐 초원을 중심으로 실크로드 무역을 통해 번성했고, 유목 생활과 튀르크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현재 여러 국가에 디아스포라가 거주하고 있다.
  • 역사에 관한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역사에 관한 - 2013년
    2013년은 박근혜 대통령 취임, 교황 사임, 북한 핵실험, 용산 개발 사업 부도, 윤창중 사건, 스노든 폭로, 김연아 우승, 방탄소년단 데뷔, 넬슨 만델라 사망 등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사건들이 발생한 해이다.
위 (삼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대삼국 시대
존속 기간220년 – 266년
정치 체제군주제
건국 사건후한 헌제의 양위
건국 날짜220년 12월 11일
멸망 사건조환의 양위
멸망 날짜266년 2월 4일
이전 국가후한
이후 국가서진
오 독립 선언222년
촉한 정복263년
262년 중국, 노란색 영역이 조위
262년 중국, 노란색 영역이 조위
수도허창 (220년–226년)
낙양 (226년–266년)
공용어상고 한어
종교도교, 유교, 중국 민간 신앙
통화중국 동전, 오수전
통치자
황제조비
조예
조방
조모
조환
황제 연도220년 12월 – 226년 6월
226년 6월 – 239년 1월
239년 1월 – 254년 10월
254년 10월 – 260년 6월
260년 6월 – 266년 2월
인구
260년4,432,881명 (이견 있음)
현재 국가
중국어 표기간체: 曹魏
정체: 曹魏
로마자 표기병음: Cáo Wèi
웨이드-자일스: Tsʻao2 Wei4

2. 역사

189년(중평 6년)부터 265년(태시 원년)까지 5대 황제 45년간 존속한 위나라조조가 기반을 다지고, 조비후한으로부터 선양받아 건국하였다.[1]

196년(건안 원년) 조조는 헌제를 옹립하여 허로 천도하고 둔전제를 실시하여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23] 208년 승상이 되고, 213년에는 ,[23] 216년에는 위왕이 되면서 제위를 넘볼 수 있는 세력을 갖추게 되었다.[23] 그러나 조조는 스스로 황제에 오르지 않고 '후한의 충신'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다.[23]

220년 조조가 사망하고, 아들 조비가 헌제에게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였다.[24] 조비는 낙양으로 천도하고 구품관인법을 실시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체제를 안정시키려 했다.[7] 그러나 조비는 예를 따르지 않았고, 정벌 실패로 위신이 실추되었다.

239년(경초 3년) 조예 사후, 사마의조상조방의 후견인이 되었으나, 249년 사마의는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조상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다.[26] 이후 사마의의 아들 사마사, 사마소에게 권력이 승계되었다.

265년(함희 2년) 사마소의 아들 사마염조환에게 선양을 받아 진나라를 건국하면서 위나라는 멸망했다.[17]

서력사건
155년조조 태어남.
189년조조, 향리에서 동탁 토벌을 위한 의병을 모집함.
192년연주목으로 영입되어 정예군 청주병을 조직함.
196년헌제를 봉대하고 허창으로 천도함. 둔전제 시행.
200년백마, 관도에서 원소군을 무찌름.
207년오환 정복.
210년구현령과 술지령 공포.
213년조조, 위공이 됨.
215년조조의 딸, 헌제의 황후로 세워짐. 한중 평정.
216년조조, 위왕이 됨.
219년조조, 한중을 잃음. 손권과 연합, 관우를 격파함.
220년조조 서거. 조비, 제위를 선양받아 위 황조 건국. 후한 멸망. 낙양으로 천도함.
226년조비 승하. 조예 즉위.
234년사마의가 오장원 전투에서 제갈량과 대치.
238년사마의, 공손연의 난을 진압.
239년조예 승하. 조방 즉위.
249년사마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조상 일당을 처형함.
251년왕릉의 사마의 타도 계획 실패. 사마의가 죽고 사마사가 뒤를 이음.
254년사마사 주살 계획 실패. 조방이 폐위되고 조모가 옹립됨.
255년사마사가 죽고 동생 사마소가 뒤를 이음.
257년제갈탄오나라와 결탁해 반란을 일으키나 다음해 진압됨.
260년조모가 사마소를 토벌하려다가 살해됨. 조환 즉위.
263년촉한 정복.
264년사마소, 상국이 됨.
265년사마소, 진왕이 됨. 사마소 사망. 사마염이 뒤를 이음. 위 멸망, 진 건국.


2. 1. 조조의 성장과 기반 다지기

189년(중평 6년) 조조는 여러 제후와 함께 동탁 토벌을 위해 군사를 모집하였고, 조인, 하후돈, 하후연 등 조조의 일족들이 그를 따랐다.[9] 191년(초평 2년)에는 청류파 지식인이었던 순욱이 조조의 진영에 가세하였고, 순욱은 곽가, 순유, 종요 등 국방과 내정 면에서 활약하는 여러 명사들을 천거했다.[10] 192년 연주 이 된 조조는 청주에서 온 황건적 병사들을 흡수하여 '청주병(靑州兵)'이라 불리는 정예부대를 조직하고 세력을 확장했다.[11]

196년(건안 원년), 조조는 헌제를 허(許)로 맞아들여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둔전제를 시작하여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켰다.[23] 200년 관도대전에서 원소를 격파하고, 207년에는 오환을 격파하여 중국 북부를 장악했다.[23] 208년 적벽대전에서 손권, 유비 연합군에 패배하며 삼국 정립의 구도가 형성되었다.[23] 213년 조조는 ,[23] 216년에는 위왕에 봉해지며 제위에 오를 기반을 마련했다.[23]

서력사건
155년조조 태어남.
189년조조, 향리에서 동탁 토벌을 위한 의병을 모집함.
192년연주목으로 영입되어 정예군 청주병을 조직함.
196년헌제를 봉대하고 허창으로 천도함. 둔전제 시행.
200년백마, 관도에서 원소군을 무찌름.
207년오환을 정복하여 평정.
210년구현령과 술지령 공포.
213년조조, 위공이 됨.
215년조조의 딸, 헌제의 황후로 세워짐. 한중을 평정.
216년조조, 위왕이 됨.
219년조조, 한중을 잃음. 손권과 연합, 관우를 격파함.
220년조조 서거.


2. 2. 위나라의 건국과 발전

220년 조조 사후, 아들 조비후한 헌제에게서 선양을 받아 황제로 즉위해 위나라를 건국했다.[24] 낙양으로 천도하고,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국가 체제를 정비했다.[7] 조비는 유가를 부흥하여 체제를 안정시키려 했고, 구품관인법으로 인재를 선발했다. 그러나 조비는 예를 따르지 않았고, 정벌 실패로 위신이 실추되었다.

조비 사후, 조예가 즉위하여 , 와 대립했다. 228년부터 234년까지 제갈량이 이끄는 촉한다섯 차례 북벌조진, 사마의, 장합 등의 활약으로 막아냈다.[7] 238년에는 요동의 공손연을 멸망시키는 등 군사적 업적도 달성했다.[25]

서력사건
220년조조 서거. 조비, 제위를 선양받아 위 황조 건국. 후한 멸망. 낙양 천도.[24]
226년조비 승하. 조예 즉위.[7]
234년사마의, 오장원에서 제갈량과 대치.[7]
238년사마의, 공손연의 난 진압.[25]


2. 3. 사마씨의 집권과 멸망

239년 조예 사후, 사마의조상조방의 후견인이 되었다. 조상은 사마의의 실권을 빼앗고 정무에서 소외시켰으나, 249년 사마의는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조상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다.[26] 이로써 조씨 일족은 쇠퇴하고 실권이 사마씨에게 옮겨졌으며, 사마의 사후 그의 아들 사마사, 사마소에게 권력이 승계되었다.

254년 이풍, 장집 등의 사마사 제거 계획이 실패하고, 조방은 폐위되었다.[15] 이후 관구검, 문흠, 제갈탄의 반란이 일어났지만 모두 진압되어 사마씨에 반대하는 세력이 제거되었다. 260년 조모사마소 제거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살해되었다.[16]

263년 종회등애촉한을 멸망시켰으나,[16] 264년 종회와 강유가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는 혼란이 있었다. 265년 사마소가 사망하고, 아들 사마염조환에게 선양을 받아 진나라를 건국하면서 위나라는 멸망했다.[17]

3. 정치

위(魏)는 후한(後漢)의 정치 제도를 많이 계승했지만,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그 중 하나는 관료 등용 제도인 구품관인법의 시행과 둔전제의 실시이다.

220년, 조비(曹丕)는 진군(陳群)의 의견을 채택하여 구품관인법(九品官人法)을 시행하였다.[19] 이는 기존의 향거리선을 대체하는 새로운 관리 등용 제도였다. 구품관인법은 관료의 직책을 9등급으로 나누고, 각 군(郡)에 설치된 중정관(中正官)이 관료 후보자를 평가하여 1품에서 9품까지의 향품(鄕品)을 부여하는 방식이었다. 신임 관료는 처음에는 향품 4품 이하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이후 승진을 통해 최대 향품과 같은 관품까지 오를 수 있었다. 그러나 사마의(司馬懿)가 위(魏)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주대중정(州大中正)을 도입하여 권력자들이 관료 임용에 더 쉽게 개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향품은 점차 세습되기 시작했고, 귀족층이 형성되는 결과를 낳았다.[19]

196년, 조조(曹操)는 한호(韓浩), 조지(棗祗)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둔전제(屯田制)를 시작하였다.[20] 둔전제는 전란으로 인해 버려진 농지를 군인들이 경작하게 하는 제도였다. 처음에는 민둔(民屯)이라 하여 일반 백성들을 동원했지만, 이후 임준(任峻) 등의 노력으로 둔전제가 궤도에 오르면서 조조군은 식량 문제를 해결하고 백성들을 모을 수 있게 되었다. 위(魏) 건국 후에는 국경 부근이나 수도 근교에서 병사들에게도 농사를 짓게 하는 군둔(軍屯)도 시행되었다.[20]

향거리선(鄕挙里選)의 과목 중 하나인 효렴(孝廉)에는 순욱(荀彧), 순유(荀攸), 가후(賈詡) 등 유교 지식인들이 주로 추천되었으며, 조조 자신도 효렴으로 추천되었다.[21]

조조는 세력권 경계 부근에 사는 주민이나 오환(烏桓)족, (氐)족을 세력권 안쪽으로 이주시켜 전쟁 시 적과의 결탁을 막고 노동력을 확보하고자 했다.[22] 조비(曹丕) 또한 기주(冀州)의 병사 5만 호를 하남군(河南郡)으로 이주시켰다.[22]

위(魏)에서는 병역 의무가 있는 군인 가족을 일반 백성과 구분하여 병호(兵戶)라고 불렀다. 이를 병호제(兵戶制)라고 한다.[23] 이들 병호 출신 병사들이 위나라 군대의 근간을 이루었다.

3. 1. 중앙 정치 제도

위(魏)는 후한(後漢)의 정치 제도를 많이 계승하였다. 조비(曹丕)는 재위 중 중서감(中書監)과 행상서대(行尚書臺)라는 두 개의 별도 정부 기구를 설치하여 상서대(尚書臺)의 권한을 축소하고 중앙 정부의 권력을 강화하였다.

이 시기에 진군(陳群)은 구품관인법을 개발하여 관리 임명 제도로 채택하였고, 이는 수나라의 과거 제도가 도입될 때까지 후대 왕조에서도 사용되었다.

조비는 한나라가 멸망한 원인을 각 주의 주목(州牧)들이 너무 큰 권력을 휘두르고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주목의 역할을 자사(刺史)로 축소하고, 자사가 각 주의 민정만을 관할하도록 하였으며, 군사 문제는 지방 관청이나 수도에 주둔한 군사들이 담당하도록 하였다.

조위(曹魏) 사회는 봉건화되고 봉신화되었다. 귀족들은 부역(賦役)과 특수 세금이 면제되었고, 법적 면책과 기타 특권을 누렸다. 조위는 구품관인법으로 庶(서, 상민) 가구와 士(사, 귀족) 가구 사이에 엄격한 사회 계층을 법으로 뒷받침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을 만들었고, 귀족 명문가의 세습직을 가능하게 했다. 귀족들은 농가와 전쟁 난민을 자신의 성곽 마을로 받아들여 客(객, 사적 고객)과 부곡(部曲)(군사 수하)으로 삼아 사병을 구성했다. 이러한 귀족들은 부유한 지주이자 지방의 군벌이었으며, 이 시기에 그들의 경제적, 사회적 권력은 더욱 커졌다. 군사 수하들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귀족 가문에 얽매인 사농(私農) 노동자로 남아 있었다. 그들은 중앙 정부에 어떠한 부역이나 세금도 내지 않았지만, 그들의 귀족 영주는 그들의 곡물 수확의 50% 이상을 받았다. 사실상 그들은 영주의 속인(屬人)이었다.[19]

3. 1. 1. 행정

승상: 황제 아래에서 행정을 총괄한, 현재의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직책이다.[1]

사도: 승상을 보좌하여 행정을 담당한, 현재의 부총리에 해당하는 직책이다. 삼공 중 하나이다.[2]

녹상서사: 궁정의 문서를 총괄한, 현재의 내각총리에 해당하는 직책이다.[3]

사공: 건축을 담당한, 현재의 국토교통부 장관에 해당하는 직책이다. 삼공 중 하나이다.[4]

220년, 조비진군의 의견을 채택하여 구품관인법이라는 관료 등용법을 시행하였다.[19] 이 제도는 관료의 직책을 최고 일품관부터 최저 구품관까지 9등급으로 분류하고, 군의 중정관이 관료 후보를 평가하여 일품에서 구품까지의 향품으로 분류하는 방식이었다. 신임 관료는 향품 4품 이하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이후 승진하여 최종적으로 향품과 같은 관품까지 오를 수 있었다. 사마의가 위의 실권을 장악하면서 주대중정을 도입하여 권력자들이 쉽게 개입할 수 있게 되었고, 향품이 세습되면서 귀족층이 형성되었다.[19]

196년, 조조한호, 조지 등의 건의에 따라 둔전제를 시작하였다.[20] 둔전제는 병사가 농민을 호위하며 농지를 경작하는 제도(민둔)였으며, 임준 등의 노력으로 궤도에 올라 조조군의 식량 문제 해결과 민중들을 모으는 데 기여했다. 위 건국 후에는 국경 부근이나 수도 근교에서 병사들에게도 농사를 짓게 하였다(군둔).[20]

향거리선의 과목 중 하나인 효렴에는 순욱, 순유, 가후 등 유교 지식인들이 주로 추천되었으며, 조조 자신도 효렴으로 추천되었다.[21]

조조는 세력권 경계 부근의 주민이나 오환족, 족을 세력권 안쪽으로 거주하게 하여, 전쟁 시 이들이 적과 결탁하는 것을 막고 노동력을 확보했다.[22] 조비도 기주의 병사 5만 호를 하남군으로 이주시켰다.[22]

위에서는 병역 의무가 부과된 세습 군인의 가족은 일반 호적과 달리 병호라 불렸다(병호제).[23]

3. 1. 2. 군사

태위는 현재의 국방부 장관에 해당하며, 상징적인 군사 최고 사령관이었으나 실권은 거의 없었다. 삼공 중 하나였다.[1]

대사마는 현재의 합동참모의장에 해당하며, 실질적인 군사권을 가진 직책으로 전시에는 군을 통솔했다.[1]

대장군은 명목상으로는 대사마보다 한 단계 아래였지만, 실제로는 대사마와 동등한 권한을 가졌다.[1]

3. 1. 3. 천자 직속관직

태부: 천자의 스승 (현재는 이런 관직은 없다).[1]

태사: 천자의 스승.[1]

태보: 천자의 스승.[1]

3. 1. 4. 황태자 직속관직

태자태부는 황태자의 교육을 담당했다.[1]

태자소부는 황태자의 교육을 담당했다.[1]

참사는 황후와 황태자의 가사를 담당했다.[1]

3. 1. 5. 황궁/수도 관리 관직

태상은 현재의 대통령비서실장과 같은 직책으로, 천자의 제사 등을 보필했다.[1]

광록훈은 궁궐 문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1]

위위는 현재의 청와대 대통령 경호처 지원부대의 수장과 비슷한 직책으로, 궁궐 문을 지키는 군사를 지휘했다.[1]

태복은 천자가 타는 가마와 말을 관리하는 일을 담당했다.[1]

3. 2. 지방 정치 제도

위(魏)는 주, 군, 현의 지방 행정 체계를 유지했다. 주에는 목이나 자사를, 군에는 태수나 도위를, 현에는 현령이나 현장 등을 파견하여 다스리게 하였다.[1]

3. 2. 1. 주의 관직


  • 목: 현재의 도지사처럼 각 주를 다스리던 관직이다.[1]
  • 자사: 현재의 도지사 감사처럼 목을 감찰하던 관직이다. 때로는 목보다 자사가 더 많은 권력을 가지기도 했다.[1]
  • 태수: 현재의 시장 또는 군수처럼 각 군의 수장이었다.[1]
  • 도위: 현재의 향토사단장처럼 군의 군사를 맡았다.[1]
  • 승: 현재의 시장 또는 군수의 비서실장처럼 태수의 보좌관이었다.[1]
  • 독우: 각 군에 소속되어있는 현을 감독했다.[1]
  • 현령: 지금의 구청장처럼 1만 호 이상의 현을 다스렸다.[1]
  • 현장: 지금의 면장 또는 읍장처럼 1만 호 이하의 현을 다스렸다.[1]

3. 2. 2. 군의 관직


  • 태수: 현재의 시장 또는 군수와 같은 역할로, 각 군의 최고 책임자였다.[1]
  • 도위: 현재의 향토사단장과 같은 역할로, 군의 군사 업무를 담당했다.[1]
  • 승: 현재의 시장 또는 군수의 비서실장과 같은 역할로, 태수를 보좌했다.[1]
  • 독우: 각 군에 소속된 현들을 감독하는 역할을 했다.[1]

3. 2. 3. 현의 관직


  • 현령: 지금의 구청장과 같으며, 1만 호 이상의 현을 다스렸다.[1]
  • 현장: 지금의 면장 또는 읍장과 같으며, 1만 호 이하의 현을 다스렸다.[1]

3. 3. 둔전제와 병호제

조조는 둔전제를 실시하여 유민을 정착시키고 농업 생산력을 증대시켰다. 둔전제는 전란으로 인해 경작할 사람이 없어진 농지를 관(官)의 병사가 농민을 호위하며 경작하는 제도(민둔(民屯))였다. 임준 등의 노력으로 둔전제가 궤도에 오르면서 조조군은 식량을 구하는 데 어려움이 없게 되었고, 각지의 궁핍한 민중들을 대량으로 모을 수 있게 되었다. 위(魏) 건국 후에는 국경 부근이나 수도 근교에서 병사들에게도 농사를 짓게 하였다(군둔(軍屯)).

위(魏)에서는 병역 의무가 부과된 세습 군인 가정을 일반 호적과 구분하여 병호(兵戶)라 불렀다(병호제(兵戶制)). 병호 출신 병사들이 군대의 근간이 되었다.

4. 경제

황하 문명이 발생한 북중국을 장악하고 있던 위나라는 통치하는 인구와 동원 가능한 생산력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있었다.

후한 말기 전란으로 인한 화폐 부족과 견직물 생산 증가를 받아들여, 204년 조조원소의 지배 지역이었던 화북을 중심으로 견직물에 의한 조세를 도입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위에서는 호 단위로 견직물을 부과하는 호조제가 도입된다.[34]

한편, 조조는 208년 동탁이 폐지한 오주전을 부활시켰고, 위가 성립된 221년과 227년에 오주전이 새롭게 주조되었으나, 곧 주조가 중단되었다. 이는 국가적인 결제 수단이 견직물로 이행된 후에도 민간에서는 모든 거래가 물물교환으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해서 화폐의 수요가 높았던 것에 대응하기 위해 오주전을 발행했다고 생각된다.[35]

5. 문화

247년경 조위의 무덤


조조, 조비, 조식 등 조씨 삼부자가 건안문학(建安文學)을 주도했다. 조식은 "시성(詩聖)"이라 칭송받을 정도로 높이 평가받았다.[20] 조비는 『문론(典論)』을 저술하여 문학 이론을 정립했다. 건안문학은 후한 건안 연간(196년~220년)에 조조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위진남북조 시대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하안(何晏), 왕필은 현학(玄學)을 창시하여 노장사상을 발전시켰다. 죽림칠현은 청담(淸談)을 통해 노장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종요서예가로서 해서(楷書)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서체는 "종요체(鍾繇體)"로 불리며, 예서와 해서의 중간 형태로 유명하다.

마균은 지남차와 수전백희(水轉百戯)를 만들었다. 수전백희는 물로 움직이는 자동인형 곡예단 및 악대였다.

6. 대외 관계

위는 동쪽으로는 고구려와, 서쪽으로는 왜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

6. 1. 고구려와의 관계

고구려는 242년에 중국 요새를 공격하려 시도하며 고구려-위나라 전쟁을 일으켰다. 이는 한반도 내 중국 영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려는 시도였다.[12] 그러나 위나라는 이에 맞서 침략하여 고구려를 패퇴시켰다. 244년 위나라 군대의 보복 공격으로 환도가 파괴되었다.[12] 이 침략으로 고구려 왕은 도망쳤고, 고구려는 그 중요성이 크게 줄어들어 반세기 동안 중국 역사 기록에는 그 국가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13]

6. 2. 왜(일본)와의 관계

위지왜인전에 따르면 왜는 대방군(현재 북한 남서부 지역에 해당)의 동남쪽 큰 바다 속에 있으며, 산과 섬을 의지하여 나라와 읍(むら)을 이루고 있었다. 옛날에는 백여 개의 나라가 있었고, 한나라 때 조공을 바치는 자도 있었다. 히미코를 여왕으로 하는 야마타이국이 그 중심으로 여겨지며, 서른 개의 나라 중 많은 나라(20개국 미만, 대마국에서 누국까지)가 그 지배하에 있었다고 한다.

7. 역대 황제

'''조위의 통치자'''
묘호시호성 및 이름재위 기간연호 및 연대
해당 없음고황제조등해당 없음해당 없음
해당 없음태황제조숭해당 없음해당 없음
태조무황제조조216년 ~ 220년해당 없음
세조문황제조비220년 ~ 226년황초 (220년 ~ 226년)
열조명황제조예227년 ~ 239년태화 (227년 ~ 233년)
청룡 (233년 ~ 237년)
경초 (237년 ~ 239년)
해당 없음해당 없음조방240년 ~ 249년정시 (240년 ~ 249년)
가평 (249년 ~ 254년)
해당 없음해당 없음조모254년 ~ 260년정원 (254년 ~ 256년)
감로 (256년 ~ 260년)
해당 없음원황제조환260년 ~ 266년경원 (260년 ~ 264년)
함희 (264년 ~ 266년)


참조

[1] 서적 Zhongguo Tongshi – Weijin Nanbeichao Shi (中國通史·魏晉南北朝史) 1992
[2] 웹사이트 East Asian History: THE CONTINUATION OF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http://www.eastasian[...]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5-03-29
[3] 서적 China: A History Hackett 2009-03-13
[4] 서적 Minimal Old Chinese and Later Han Chinese University of Hawaiʻi 2009
[5] 서적 The Mirror Illuminating the Royal Genealogies Otto Harrassowitz Verlag 1994
[6] 서적 T'ien Hsia Monthly Kelly and Walsh 1940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10] 서적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11] 서적 Chronicles of the Three Kingdoms
[12] 서적 A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Kegan Paul International 1996
[13] 간행물 Control or Conquer? Koguryǒ's Relations with States and Peoples in Manchuria https://web.archive.[...] 2007-06-01
[14] 서적 Jin Shu
[15] 서적 Jin Shu
[16] 서적 Jin Shu
[17] 서적 Zizhi Tongjian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China: From Antiquity to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20] 서적 Chinese Writ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China and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0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Ts'ao P'i transcendent: the political culture of dynasty-founding in China at the end of the Han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4-01
[23] 서적 世界歴史体系 中国史2 山川出版社 1996
[24] 문서 신말후한초 시대의 군웅할거 시대
[25] 문서 魏志倭人伝
[26] 문서 나이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며, 34세가 유력하다고 여겨진다.
[27] 서적 晋書
[28] 서적 晋書
[29] 서적 晋書
[30] 서적 宋書
[31] 서적 宋書
[32] 서적 宋書
[33] 서적 남제서
[34] 간행물 三国時代の曹魏の税制改革と貨幣経済と質的変化 汲古書院 2018
[35] 간행물 三国時代の曹魏の税制改革と貨幣経済と質的変化 汲古書院 2018
[36] 서적 삼국회요
[37] 서적 삼국회요, 자치통감, 역대제왕묘시년휘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